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엘그레코의 작품

2022. 8. 19.
반응형

 

엘그레코 작품의 기술과 스타일

창조물의 주관적 성격에 대한 상상력과 직관의 우위는 엘 그레코 양식의 근본적인 원리였다. 엘 그레코는 측도와 비율과 같은 고전주의적 기준을 폐기했다. 그는 우아함이 예술의 최고의 추구라고 믿었지만, 화가는 가장 복잡한 문제들을 쉽게 풀어나가는 것만으로 우아함을 성취한다. 엘 그레코는 색을 그림의 가장 중요하고 통제할 수 없는 요소로 여겼고, 색은 형태보다 우선한다고 선언했다. 1611년 엘 그레코를 방문한 화가이자 이론가인 프란시스코 파체코는 엘 그레코에 대해 "그의 재주를 뽐내기 위해 큰 얼룩에 조잡하고 섞이지 않은 색을 좋아한다"고 썼다. 미술사학자 막스 드보작(Max Dvoáák)은 엘 그레코의 미술을 매너리즘과 반자연주의와 연관시킨 최초의 학자이다. 현대 학자들은 엘 그레코의 이론을 "전형적으로 매너리즘"이라고 묘사하고, 르네상스의 신플라톤주의에서 그 근원을 정확히 지적하고 있다. 조너선 브라운은 엘 그레코가 정교한 형태의 예술을 창조했다고 믿는다;  니콜라스 페니에 따르면, 엘 그레코는 "스페인에서 한번은 그만의 스타일을 창조할 수 있었다. 엘 그레코는 그의 성숙한 작품에서 묘사하기보다는 극화하려는 독특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강한 영적 감정은 그림에서 관객에게 직접 전달된다. 파체코에 따르면, 엘 그레코의 혼란스럽고, 폭력적이며, 때때로 부주의해 보이는 예술은 스타일의 자유를 얻기 위한 연구된 노력 때문이었다. 엘 그레코는 그의 표현 목적과 미적 원리 둘 다에 도움이 되는 유난히 크고 호리호리한 몸매와 가늘고 길쭉한 작곡을 선호하여 자연의 법칙을 무시하고, 특히 제단 조각에 사용될 때 그의 작곡을 더 크게 확장시켰다. 엘 그레코의 성숙한 작품에서 인체 해부학은 훨씬 더 다른 세계적이 되었다. 엘 그레코의 성숙한 작품들의 중요한 혁신은 형태와 공간 사이의 상호적인 관계이다. 이 교직은 3세기 후에 세잔과 피카소의 작품에서 다시 나타났다. 엘 그레코의 성숙한 스타일의 또 다른 특징은 빛의 사용이다. 조나단 브라운이 지적한 바와 같이, "각각의 형상은 보이지 않는 근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반사하거나 자신의 빛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엘 그레코의 친필 메모를 기록한 학자인 페르난도 마리아스와 아구스틴 부스타만테 가르시아는 화가가 빛에 주는 힘을 기독교 신플라톤주의의 기초가 되는 사상과 연결시킨다. 현대 학술 연구는 엘 그레코의 성숙한 문체의 완전한 발전을 위해 톨레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화가가 자신의 문체를 주변 환경에 맞게 조정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해롤드 웨티는 "그리스인은 혈통이고 이탈리아인은 예술적 준비이지만, 예술가는 스페인의 종교적 환경에 너무 몰입하게 되어 스페인 신비주의의 가장 중요한 시각적 대표자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엘 그레코의 성숙한 작품에서 "기분의 헌신적인 강렬함은 반종교 시대의 로마 가톨릭 스페인의 종교 정신을 반영한다"고 믿는다. 엘 그레코는 또한 초상화 작가로서 뛰어났으며, 시터의 특징을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성격을 전달할 수 있다. 그의 초상화는 그의 종교화보다 수는 적지만, 똑같이 질이 높다. 웨티스는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예술가는 티치아노, 렘브란트와 함께 초상화가로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인상적인 인물화를 창조했다"고 말한다.

 

 

작품의 재료와 비잔틴 양식

엘 그레코는 그의 그림들 중 많은 부분을 미세한 캔버스에 그렸고 점성이 있는 유화 매체를 사용했다. 그는 아주라이트, 납-주석-황색, 버밀리온, 광석, 황토, 붉은 납과 같은 그의 시대의 일반적인 색소로 그림을 그렸지만, 그는 값비싼 천연 울트라마린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20세기 초부터 학자들은 엘 그레코의 양식이 비잔틴에서 기원했는지에 대해 논쟁해왔다. 일부 미술사학자들은 엘 그레코의 뿌리가 비잔틴 전통에 확고히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의 가장 개인적인 특징들은 그의 조상들의 예술에서 직접 유래한다고 주장했고, 다른 학자들은 비잔티움 미술이 엘 그레코의 후기 작품과 관련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화가 크레타 시대의 진짜 서명 작품인 시로스의 성모 기숙사의 발견과 1960년대 초의 광범위한 기록 연구는 이러한 이론들을 재조명하고 재평가하는 데 기여했다. 비록 비잔티움 제국의 성화상들의 많은 관습들을 따르지만, 양식의 양상들은 확실히 베네치아의 영향을 보여주며, 성모 마리아가 죽었음을 보여주는 이 작품은 정교회 성모 잠복과 가톨릭 성모 가정이라는 서로 다른 교리를 결합한다. 20세기 후반에 엘 그레코에 바쳐진 중요한 학문적 작품들은 그의 비잔티움주의를 포함하여 그의 작품에 대한 많은 해석을 재평가한다.엘 그레코 자신의 손으로 쓰여진 노트, 그의 독특한 스타일, 그리고 엘 그레코가 그리스 문자로 그의 이름을 서명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그들은 비잔틴 회화와 그의 예술 사이의 유기적인 연속성을 본다. 마리나 람브라키플라카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영향과는 거리가 먼, 그의 출생지인 칸디아와 지적으로 유사한 중립적인 장소에서, 그의 교육의 비잔틴적 요소들이 등장했고 그의 성숙한 작품에서 우리에게 제시되는 이미지의 새로운 개념에 촉매적인 역할을 했다. 람브라키-플라카는 옥스포드 대학교 교수 시릴 망고와 엘리자베스 제프리스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그는 "반대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의 유명한 그림의 유일한 비잔틴 요소는 그리스 문자로 된 그의 서명이었다"고 주장했다. 니코스 하드니콜라우는 1570년부터 엘 그레코의 그림이 "비잔티움도 아니고 후기 비잔티움도 아니고 서유럽의 그림"이라고 말한다. 그가 이탈리아에서 제작한 작품들은 이탈리아 미술사에 속하며, 스페인에서 제작한 작품들은 스페인 미술사에 속한다.영국의 미술사학자 데이비드 데이비스는 그리스-기독교 교육의 지적 원천과 정교회의 전례와 의례적인 측면에서 엘 그레코 양식의 뿌리를 찾고 있다. 데이비스는 반종교 개혁의 종교적 풍토와 매너리즘의 미학이 그의 개인 기술을 활성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 그는 플라톤주의와 고대 신플라톤주의의 철학, 플로티누스와 아레오파지테의 슈도 디오니시우스의 작품, 교회 교부들의 문헌과 전례가 엘 그레코 양식을 이해하는 데 열쇠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마드리드 프라도 박물관의 큐레이터인 호세 알바레즈 로페라는 이 문제에 대한 학문적 논쟁을 요약하면서, 엘 그레코의 성숙한 작품에서 "비잔티누스 기억"의 존재가 명백하다고 결론내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