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뒤러의 생애3

2022. 8. 11.
반응형

 

네덜란드 여행 (1520-1521)

막시밀리안의 죽음은 뒤러가 (아마도 관절염으로 인한) "나의 시력과 손의 자유"를 잃고 마르틴 루터의 저술에 점점 더 영향을 받고 있다고 우려했을 때 일어났다.1520년 7월, 뒤러는 막시밀리안 1세가 그에게 준 제국 연금을 갱신하고 아헨에서 즉위할 새 황제 카를 5세의 후원을 확보하기 위해 네 번째이자 마지막 주요 여행을 했다. 뒤러는 아내와 하녀와 함께 라인 강을 거쳐 쾰른으로 간 다음 안트베르펜으로 여행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은색 점, 분필, 숯으로 많은 그림을 그렸다. 대관식에 참석한 것 외에도 그는 쾰른, 니메겐, 스헤르토겐보슈, 브루게스(미켈란젤로의 마돈나를 본 곳), 겐트(반 에이크의 겐트 제단 조각에 감탄한 곳), 젤란드를 방문했다. 뒤러는 대량의 판화를 가지고 다니며 일기장에 그가 누구에게 주고 교환하고 얼마에 팔았는지를 적었다. 이는 현재 인쇄물에 표시된 금전적 가치에 대한 드문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림과 달리, 그들의 판매는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뒤러의 네덜란드어 일기는 귀중한 문서 증거를 제공하면서도, 이 여행이 수익성 있는 여행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뒤러는 막시밀리안의 마지막 초상화를 딸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리타에게 바쳤지만, 마르가리타가 초상화를 싫어하고 받아들이지 않자 결국 그림을 흰 천으로 바꾸었다. 이 여행에서 그는 베르나르 판 오를리, 얀 프로부스트, 제라르 호렌부트, 장 모네, 요아힘 파티니르, 토마소 빈치도르도 만났으나, 콴틴 마티스를 만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연금을 확보한 뒤러는 1521년 7월, 알 수 없는 병에 걸려서 집으로 돌아왔고, 그 병은 평생 그를 괴롭혔다.

 

 

 

마지막 해, 뉘른베르크 (1521-1528)

뉘른베르크에 돌아온 뒤러는 십자가에 못 박힌 장면과 사크라 컨버사지오네를 포함한 종교적인 주제를 가진 많은 큰 프로젝트를 수행했지만, 둘 다 완성되지는 못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그의 건강이 쇠약해진 탓도 있을 수 있지만, 아마도 그가 기하학, 원근법, 사람과 말의 비율, 그리고 요새화에 대한 그의 이론적인 저작들을 준비하는데 시간을 들인 탓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조의 변화의 결과 중 하나는 뒤러의 말년 동안 예술가로서 상대적으로 적은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이다. 그림에는 마돈나와 아이(1526년), 살바토르 문디(1526년)의 히에로니무스 홀츠슈허의 초상화와 성 베드로 대성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두 개의 패널만이 있었다. 요한과 성녀 배경의 베드로와 성 바오로와 성. 뒤에 표시해 주세요. 이 마지막 위대한 작품인 사도는 뒤러에 의해 뉘른베르크 시에 기증되었다. 판화의 경우, 뒤러의 작품은 그의 논문을 위한 초상화와 삽화로 제한되었다. 초상화에는 마인츠의 알베르트 추기경, 작센의 프리드리히 대왕, 인문주의 학자 윌리발드 피르크하이머, 필리프 멜랑크톤,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등이 있다. 추기경과 멜랑크톤, 뒤러의 마지막 주요 작품인 뉘른베르크 귀족 울리히 스타크의 초상화를 위해 뒤러는 시터들을 옆모습으로 묘사했다. 그의 공식적인 고전 교육의 부족에 불평에도 불구하고 뒤러는 지적 문제에 큰 관심을 가졌고 그의 소년 시절 친구인 윌리발드 피르크하이머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 그는 또한 에라스무스와 다른 학자들과의 우정과 서신에서 큰 만족을 얻었다. 뒤러는 일생 동안 두 권의 책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측정에 관한 네 권의 책》은 1525년 뉘른베르크에서 출판되었으며, 성인용으로는 최초로 독일어로 된 수학에 관한 책이 되었으며, 이후 갈릴레오와 케플러가 인용하였다. 다른 하나는 1527년에 도시 요새에 대한 연구로 출판되었다. 《인간의 비율에 관한 네 권의 책》은 1528년 그가 죽은 직후 사후에 출판되었다.뒤러는 56세의 나이로 뉘른베르크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요하니스프리드호프 공동묘지에 묻혔다. 그의 큰 집(1509년 베른하르트 발터의 상속인으로부터 구입)은 그의 작업장이 있었고 그의 미망인이 1539년 사망할 때까지 살았던 뉘른베르크의 유명한 랜드마크이다.

 

뒤러와 종교개혁

 

뒤러의 저술은 그가 루터의 생각에 동조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그가 가톨릭 교회를 떠났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뒤러는 1520년 그의 일기에 루터를 그리고 싶은 그의 욕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그리고 신은 내가 마틴 루터 박사에게 갈 수 있도록 나를 도와준다; 그래서 나는 매우 조심스럽게 그의 초상화를 만들고 그를 동판에 새길 작정이다." 뒤러는 1524년 니콜라스 크라처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의 기독교 신앙 때문에 우리는 경멸과 위험에 처해야 한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피르크하이머는 1530년 요한 체르테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처음에 루터를 우리의 축복받은 기억의 알베르트처럼 믿었음을 고백한다... 하지만, 누구나 볼 수 있듯이, 상황은 더 나빠졌다."라고 썼다. 뒤러는 1525년 3월 뉘른베르크 시의회가 루터교 설교와 봉사를 의무화하는 데 기여했을 수도 있다. 특히 뒤러는 1520년 루터의 바빌로니아 포로로 잡힌 츠빙글리,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멜랑크톤, 에라스무스, 코르넬리우스 그라페우스 등 다양한 개혁가들과 접촉했다. 하지만 에라스무스와 C. Graphheus는 가톨릭의 변화 주체라고 더 잘 알려져 있다. 또한, 1525년부터, "농민전쟁의 절정과 붕괴를 목격한 그 해, 예술가는  운동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을 볼 수 있다."뒤러의 후기 작품들은 개신교인들의 동정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그의 1523년 마지막 만찬 목판화는 복음주의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종종 이해되어 왔으며, 이는 개신교 타트라키즘의 표현인 성찬잔의 포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523년에 완성되었지만 1526년까지 배포되지 않은 성 필리포스의 조각이 지연된 것은 뒤러가 성인의 이미지에 대해 불안해했기 때문일 수 있다.

반응형

댓글